목록분류 전체보기 (317)
개발로그필름

머신러닝에서 많이 사용되는 지도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로, 주로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된다이름처럼 나무(Tree) 구조를 가지며,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분기(split) 해가며 최종적인 예측 결과(클래스 또는 값)를 도출한다 1. 결정나무란?결정나무는 질문을 통해 데이터를 나눠가는 방식ex) “기온이 25도 이상인가요?” → “네”면 오른쪽, “아니오”면 왼쪽으로 나뉘는 식이렇게 질문을 이어가면서 분기점(node) 을 만들고, 마지막 결과에 도달하는 말단 노드(leaf node) 에서 예측값이 나온다 2. 결정나무 구조루트 노드 (Root Node)트리의 맨 위 노드. 첫 번째 조건이 위치내부 노드 (Internal Nodes)..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59043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SELECT o.ANIMAL_ID, o.NAMEFROM ANIMAL_INS iJOIN ANIMAL_OUTS o ON i.ANIMAL_ID = o.ANIMAL_IDWHERE i.DATETIME > o.DATETIMEORDER BY i.DATETIME ASC 보호 시작일보다 입양일이 더 빠른 동물의 아이디와 이름을 조회. 보호 시작일이 빠른 순으로 조회. 두 테이블을 animal_id를 기준으로 join입양일 >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일 날짜 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59042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SELECT o.ANIMAL_ID, o.NAMEFROM ANIMAL_INS iRIGHT JOIN ANIMAL_OUTS o ON i.ANIMAL_ID = o.ANIMAL_IDWHERE i.ANIMAL_ID IS NULL 구해야하는 것: 일부 데이터가 유실되어 입양 간 기록은 있는데 보호소에 들어온 기록이 없는 동물 ID, 이름을 ID 순으로 조회ins: 보호소 들어온 기록outs: 입양 간 기록입양 간 기록 기준으로 join => 입양 간 기록..

Python만으로도 웬만한 데이터 분석은 다 가능하지만, SQL을 요구하는 이유는 “현업 데이터 분석 환경”이 다르기 때문 ✅ 왜 Python으로 다 할 수 있는데도 SQL을 요구할까? 1. 실제 데이터는 대부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음기업에서는 고객, 주문, 클릭, 로그 등 거의 모든 데이터가 RDB (MySQL, PostgreSQL 등) 에 저장됨분석가는 데이터 분석 이전에, 먼저 데이터를 꺼내오는 역할이 필요 → SQL 필요🎯 SQL = 데이터 분석의 입구👉 데이터를 추출해야 Python으로 분석 가능 2. Python보다 SQL이 더 빠르고 가벼움수백만~수천만 건 데이터에서 요약(집계, 그룹화)을 빠르게 수행Python보다 메모리 효율적이고 안정적예:SELECT user_id,..

유저가 최종 목표(전환, 구매, 구독 등)에 도달하기까지의 단계별 행동 흐름을 추적하는 분석 방법 ✅ 퍼널 분석이란?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전환까지 도달했는지 단계별로 분석해, 이탈률이 높은 구간을 찾아내는 기법 예시: 교육 플랫폼에서의 퍼널방문무료 강의 수강회원가입첫 결제정기 구독👉 각 단계마다 몇 명이 남았는지, 몇 %가 이탈했는지를 분석 ✅ 퍼널 분석의 핵심 목적이탈률 파악어디에서 유저가 많이 빠지는지개선 기회 포착UX, 콘텐츠, 마케팅의 문제 구간 찾기전환율 최적화전체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단계별 개선성과 측정실험(A/B 테스트 등) 이후 퍼널 변화 확인 ✅ 퍼널 분석 구성 요소목표 액션 (Conversion Goal)최종 도달해야 하는 행동 (예: 구매, 구독)단계별 액션 정의사용자..

사용자 또는 고객을 공통된 특성을 기준으로 그룹화(cohort) 하여, 시간에 따라 그들의 행동 변화를 추적하는 분석 기법 ✅ 코호트 분석이란?코호트(cohort)란?비슷한 시점에 유입되었거나 공통된 행동을 한 사용자 집단(ex: 같은 달에 앱을 설치한 유저, 첫 결제를 한 유저 등) 코호트 분석은 이 사용자 집단이 시간에 따라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를 분석해, 리텐션(retention), 이탈률, 충성도, 전환율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 ✅ 왜 코호트 분석을 할까?목적설명리텐션 분석가입한 사용자들이 얼마나 오래 남아있는지 추적이탈 지점 파악어떤 시점에 가장 많이 이탈하는지 확인전략 평가신규 기능, 마케팅 캠페인 등의 효과를 시점별로 확인세그먼트 타겟팅성과가 좋은 코호트를 분석해 유사 유저 공략 ✅ 코호..
* 해당 글은 EO 아티클을 읽고 작성한 내용입니다https://eopla.net/magazines/87 ‘일 잘한다' 칭찬 받는 사람들의 공통점“저 친구 일을 어째 저렇게 잘하지?” “와… 저런 발상은 어떻게 나오지?” “짧은 시간 안에 저걸 다 어떻게 했지??” 일하면서 이런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하는 사람, 한 번쯤 만나보셨을 것입eopla.net 태생적으로 논리적이고 창의적이고 일을 잘하는 기발한 사람은 몇 안 되고 대부분 나중에 학습을 거친 경우다오히려 마음가짐과 배울 의지가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 1. 말과 생각을 퍼즐 조각처럼 구조적으로 하자문제라고 생각하는 결과는 결과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원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생겨난다.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면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