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그필름
[데이터 분석] AARRR 프레임워크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스타트업의 성장 분석이나 서비스 개선 전략을 세울 때 자주 사용하는 모델
AARRR이란?
AARRR은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 고객 여정(Customer Journey)
- Acquisition (획득)
- Activation (활성화)
- Retention (유지)
- Referral (추천)
- Revenue (수익)
각 단계는 사용자가 서비스에 처음 들어와서, 계속 쓰고, 다른 사람에게 소개하고, 결국 돈까지 쓰게 되는 전체 흐름을 보여준다
1. Acquisition (획득: 어떻게 사용자가 들어오는가?)
- 사용자가 어떻게 우리 서비스에 처음 방문하게 되었는지 보는 단계
- 광고, SNS, 블로그, 검색 등 유입 경로 분석이 핵심
예: 어떤 채널(인스타그램,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우리 서비스에 많이 들어오는지 분석
2. Activation (활성화: 첫 경험에서 만족했는가?)
-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대로 체험해보고 “와 이거 좋다!” 하는 순간을 찾는 단계
- 이걸 ‘아하 모먼트’라고 불러.
예: 회원가입 후 첫 콘텐츠를 끝까지 봤거나,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은 순간
3. Retention (유지: 사용자가 계속 사용하는가?)
- 재방문률, 재사용률을 보는 단계
- 얼마나 자주, 오래, 꾸준히 쓰는지를 분석
예: 매주 앱을 3번 이상 사용하는 사용자 비율
4. Referral (추천: 사용자가 다른 사람을 데려오는가?)
- 기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우리 서비스를 주변에 추천하는지 분석하는 단계
- 바이럴, 친구 초대 기능
예: 친구 초대하면 혜택을 주는 이벤트 → 실제 초대한 사용자 수
5. Revenue (수익: 사용자가 돈을 쓰는가?)
- 실제로 돈을 쓴 사용자 수, 구매 전환율, 객단가(1인당 매출) 같은 지표를 분석
예: 무료 이용 후 유료 결제 전환률, 구독 유지율 등
왜 AARRR이 중요하지?
- 전체 고객 여정 흐름을 구조적으로 파악
- 어느 단계에서 이탈이 많은지 파악하면 거기 집중해서 개선 가능
- 마케팅/서비스/기획 방향성도 이 프레임워크에 맞춰 조정 가능
예시 (온라인 강의 플랫폼)
Acquisition | 블로그 광고 클릭 → 홈페이지 진입 | 어떤 채널이 가장 효율적인가? |
Activation | 무료 강의 수강 시작 | 첫 콘텐츠에서 몇 %가 이탈하는가? |
Retention | 매주 몇 번씩 강의 보나 | 1주차 이후 이탈률은 얼마인가? |
Referral | 친구 초대 시 쿠폰 지급 | 초대된 사람 중 가입률은? |
Revenue | 구독 결제 | 결제 전환까지 며칠 걸리는가? |
분석할 때 팁
- 단계별 KPI를 정해서 관리
- (예: Acquisition은 클릭률, Activation은 첫 콘텐츠 완료율, Retention은 7일 리텐션 등
- 단계별로 누수가 발생하는 지점을 발견하면, 그걸 개선해서 매출을 올릴 수 있다
KPI란?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
👉 핵심 성과 지표
어떤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하고 있는지를 수치로 나타내는 지표야.
예시 1: 다이어트를 목표로 한다면
- 목표: 3개월 안에 5kg 감량
- KPI는?
- 주간 체중 변화 (예: 매주 0.4kg 감량)
- 하루 운동 시간 (예: 하루 30분 이상)
- 하루 섭취 칼로리 (예: 1500kcal 이하)
이런 숫자들이 목표 달성 과정을 보여주는 성과 지표(KPI)
예시 2: 쇼핑몰 매출 목표
- 목표: 이번 달 매출 1,000만 원 달성
- KPI는?
- 방문자 수 (유입량)
- 구매 전환율 (방문자 중 실제 결제 비율)
- 객단가 (한 명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결제했는지)
KPI는 왜 중요한가?
- 막연한 목표를 ‘측정 가능한 숫자’로 바꿔준다
- 매일/매주 그 수치를 보면서 진짜 잘 되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다
- 실패하더라도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추적할 수 있다
KPI | 목표 달성 과정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 |
역할 | 성과를 수치로 확인하고,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잡을 수 있게 해줌 |
특징 |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함 (숫자 형태로) |
반응형
LIST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 MySQL + Jupyter 연동 완전 정복 가이드 (2025 최신) (3) | 2025.06.10 |
---|---|
한 번에 이해되는 사분위수 계산하는 방법 (0) | 2025.06.03 |
Python으로 데이터 분석을 다 할 수 있는데 왜 SQL 역량이 필요할까? (0) | 2025.05.09 |
퍼널분석이란? 코호트분석과 다른 점은? (0) | 2025.05.08 |
코호트 분석 개념 및 예시, 사용 방법 (0) | 2025.05.0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