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그필름

[데이터 TIL] ci=None 신뢰구간 비활성화 본문

데이터분석가/데이터 TIL

[데이터 TIL] ci=None 신뢰구간 비활성화

yuullog 2025. 2. 10. 15:14
728x90
반응형
SMALL

ci=None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비활성화하는 옵션

즉, 막대 그래프(Bar Plot)에 신뢰구간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

 


 

1️⃣ 신뢰구간(CI, Confidence Interval)이란?

- sns.barplot()을 사용할 때 기본적으로 각 막대 위에 오차 막대(Error Bar)가 추가

- 이 오차 막대는 신뢰구간(CI, Confidence Interval)

- 신뢰구간이란, 해당 평균값이 일정한 확률(보통 95%)로 실제 평균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

 

📌 예를 들어, ci=95를 사용하면 → 95% 신뢰구간이 추가

📌 ci=None을 사용하면 → 신뢰구간이 표시되지 않음

 


 

반응형

 

2️⃣ ci=None을 쓰는 이유

기본적으로 Seaborn은 평균값을 계산할 때 신뢰구간을 함께 표시

때로는 단순한 막대 그래프를 원할 때 신뢰구간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신뢰구간을 제거하면 그래프가 더 깔끔해짐.

특히 데이터가 많을 때(5000개 이상) 신뢰구간이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단순한 평균 비교가 목적이라면, 신뢰구간 없이 평균값만 보는 게 더 직관적일 수도 있다

 


 

3️⃣ ci 옵션 설정 방법

- ci=95 (기본값, 95% 신뢰구간 포함)

sns.barplot(x="커피 맛", y="카페 만족도(1~5)", data=cafe_df, ci=95)

📌 막대 위에 신뢰구간이 추가됨 (오차 막대 표시)

 

- ci=None (신뢰구간 비활성화)

sns.barplot(x="커피 맛", y="카페 만족도(1~5)", data=cafe_df, ci=None)

📌 막대 그래프 위에 오차 막대가 없어지고, 평균값만 표시

 


 

신뢰구간보다 평균값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할 때

ci=None을 사용해서 신뢰구간을 비활성화하는 게 좋다

 

 

반응형
L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