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그필름
git을 사용하는 이유, git 설치 방법(윈도우), git bash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git 사용 2가지 방법
1. 터미널 -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2. GUI - 시각적, 그래픽적
깃허브 데스크톱, 소스트리, 타워, 깃크라켄, 언깃 등
마우스와 버튼 사용해 상호작용
장점
진입장벽 낮고 시각적으로 보여저서 사용하기 편하다
단점
GUI 기능 일부는 사용자의 요청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없어 문제가 생긴다
커맨드라인에 직접 실행하는 것보다 느리다
커맨드라인에서만 실행하거나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윈도우에서 git 설치하기
git은 유닉스 기반의 인터페이스에서 설계되었다
때문에 윈도우에는 유닉스 기반 프롬프트가 있지 않아 git 실행 시 문제 발생한다
따라서 git bash를 다운로드하면 되는데 git bash는 윈도우에서 리눅스에서 실행되는 bash를 가능하게 해 주고 git도 함께 제공한다
git 홈페이지에서 윈도우용 git 설치 프로그램 다운
Git
www.git-scm.com
설치 후 계속 next 누르면 된다
마지막에 Launch Git Bash 체크하고 View Release Notes는 체크하지 않는다
좀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창이 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건 각자 사람마다 이름이 다르게 나옴!
깃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it --version 명령어를 실행한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잘한 것!
터미널 창을 닫았을 경우 Git Bash를 검색한 다음 다시 실행시키면 된다
Git Bash는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이름이다
반응형
LIST
'IT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명령어 touch, mkdir (0) | 2023.01.10 |
---|---|
git 명령어 ls, pwd, cd, cd .., start . , clear (0) | 2023.01.10 |
깃크라켄. GitKraken 설치 (0) | 2023.01.10 |
git 설치 후 이름과 이메일 설정하기 (0) | 2023.01.10 |
git repository (0) | 2022.07.05 |
Comments